1. 통합 구현
- 구성요소
🔎 Network? ISP 공중망 + Protocol구성요소
- 송신시스템 & 수신시스템 : 모듈 + 모니터링 기능
2. 연계 데이터 식별 및 표준화
1단계 | 연계 범위 및 항목정의 |
2단계 | 연계 코드 변환 및 매핑 |
3단계 | 연계 데이터 식별자와 변경 구분 추가 |
4단계 | 연계 데이터 표현 방법 정의 |
5단계 | 연계 정의서 및 명세서 작성 |
3. 연계 메커니즘
- 구성요소
💡 연계 데이터 ? 운영 DB로부터의 파일 형식
💡 Log ? 결과 및 오류에 대한 정보를 로그 테이블/파일에 기록 - 방식
직접 연계 간접 연계 장점 연계 통합 구현이 단순하고 용이
데이터 연계 처리 성능이 좋음
개발비용과 기간이 줄어듦다양한 연계 및 통합이 가능
인터페이스 변경 시 오류가 적음
비즈니스 로직에 쉽게 반영단점 결합도 Up = 오류 발생 Up
비즈니스 로직 적용력 Down
시스템 환경 제한적연계 메커니즘 및 아키텍처가 복잡
중간 매개체로 인해 성능 저하
개발기간과 비용이 Up종류 DBLink
API/Open Api
DB Connection ( DB-WAS )
JDBC ( Java + DB )연계 솔루션
ESB
Socket
Web Service
4. 연계 데이터 보안
📘 전송구간 암·복호화 + 데이터의 암·복호화
- 전송구간 보안 : 데이터 / 패킷 암호화 → VPN, 연계솔루션 적용
- 데이터 보안
데이터보안 과정 - 암호화 알고리즘
- Hash : 단방향 암호화 방식
- 개인키 / 공개키 : 양방향 암호화 방식 ex) SEED, ARIA, AES, DES, RSA ... - 암·복호화 적용 절차
암복호화 적용절차
5. 연계 모듈 구현 과정 ✨
- EAI : 효율성 및 시스템 간의 확정성을 높여줌
Point-to-Point 1 : 1로 연결 Hub & Spoke 중앙 집중형 방식 Message Bus 미들웨어, 대용량 처리 가능 Hybrid Hub & Spoke + Message Bus, 병목현상 최소화 - ESB : 서비스 중심 통합 지향, 결합도 약하게 유지
- Web Service : SOA 개념을 실현하는 기술
- SOAP : XML 기반의 메시지를 네트워크 상에서 교환하는 프로토콜
- UDDI : WSDL을 등록해 서비스+제공자를 검색 및 접근
- WSDL : 웹 서비스에 대한 상세정보를 XML 형식으로 구현
6. XML ✨
📘 HTML 문법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 SGML의 복잡함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다목적 마크업 언어
- SOAP : HTTP / HTTPS , SMTP 등을 이용해 XML을 교환하기 위한 통신규약
- WSDL : 표준적인 방법으로 기술 및 게시하기 위한 언어, XML로 작성
7. 연계 테스트
2020 개정 후 정보처리기사 필기 4장 통합 구현 요약본입니다 😚
'certificat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 필기] 애플리케이션 테스트 관리 - 1 (0) | 2022.01.25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화면설계 (0) | 2021.12.17 |
[정보처리기사 필기] 서버 프로그램 구현 (0) | 2021.12.11 |
[정보처리기사필기] 데이터 입출력 구현 (0) | 2021.12.09 |
[정보처리기사필기] 요구사항 확인 (0) | 2021.12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