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eon DevLog

전체 글 32

[BOJ/백준][JAVA] 15658 - 연산자 끼워넣기(2)

[문제] 15658번: 연산자 끼워넣기 (2) N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또, 수와 수 사이에 끼워넣을 수 있는 연산자가 주어진다. 연산자는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×), 나눗셈(÷)으로만 이루어져 있다. 연산자의 개수 www.acmicpc.net 📒 문제 N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열 A1, A2, ..., AN이 주어진다. 또, 수와 수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연산자가 주어진다. 연산자는 덧셈(+), 뺄셈(-), 곱셈(×), 나눗셈(÷)으로만 이루어져 있다. 연산자의 개수는 N-1보다 많을 수도 있다. 모든 수의 사이에는 연산자를 한 개 끼워 넣어야 하며, 주어진 연산자를 모두 사용하지 않고 모든 수의 사이에 연산자를 끼워 넣을 수도 있다. 우리는 수와..

Algorithm 2021.12.27

[Data Structure/자료구조][CS] 2. Stack

2. Stack 📌 정의 :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LIFO 형태의 자료구조 1. 연산 push : 스택의 맨 상단에 데이터를 삽입 pop : 스택의 맨 상단 데이터를 삭제 top : 스택의 맨 상단 데이터 isEmpty : 스택이 비어 있는 지를 확인 return boolean isFull : 스택이 가득 차 있는 지를 확인 return boolean 2. 구현 방식 ① Array 장점 : 구현이 쉽고, 원하는 데이터의 접근 속도가 빠르다 Public class Stack{ int top; int maxSize; Object[] stackArr; public Stack(int size){ this.top = -1; this.maxSize = size; this.stackArr = ne..

[Data Structure/자료구조][CS] 1. Array와 List

1. Array 정의 : 연속된 메모리 공간에 순차적으로 저장된 데이터의 모임 💡 value는 배열의 element. 즉, 요소를 뜻하고 [number]은 배열의 index를 의미 2. 특징 선형 자료구조 각 요소는 인덱스를 통해 액세스 할 수 있음 Multi-Dementional Array : 배열 안에 배열 생성 가능 = 다차원 배열 3. 장단점 장점 - 크기 변경이 어렵다 - 삭제 삽입 시, 비용이 많이 든다 - overflow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- 저장 공간이 낭비될 수 있다 단점 - 크기 변경이 어렵다 - 삭제 삽입 시, 비용이 많이 든다 - overflow가 생길 가능성이 있다 - 저장 공간이 낭비될 수 있다 4. 배열을 사용하는 경우 값보다 순서가 더 중요할 때 다차원 데이터를 사용할 때..

[백준/BOJ][JAVA] 10709 - 기상캐스터

[문제] 10709번: 기상캐스터 출력은 H 행으로, 각 행에는 공백으로 구분된 W 개의 정수를 출력한다. 출력의 i 번째 행 j 번째 정수 (1 ≦ i ≦ H, 1 ≦ j ≦ W) 는, 지금부터 몇 분후에 처음으로 구역 (i, j) 에 구름이 뜨는지를 표시 www.acmicpc.net 📒 문제 JOI시는 남북방향이 H 킬로미터, 동서방향이 W 킬로미터인 직사각형 모양이다. JOI시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1킬로미터인 H × W 개의 작은 구역들로 나뉘어 있다. 북쪽으로부터 i 번째, 서쪽으로부터 j 번째에 있는 구역을 (i, j) 로 표시한다. 각 구역의 하늘에는 구름이 있을 수도, 없을 수도 있다. 모든 구름은 1분이 지날 때마다 1킬로미터씩 동쪽으로 이동한다. 오늘은 날씨가 정말 좋기 때문에 JOI..

Algorithm 2021.12.21

[백준/BOJ][JAVA] 1504 - 특정한 최단경로

[문제] 1504번: 특정한 최단 경로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과 간선의 개수 E가 주어진다. (2 ≤ N ≤ 800, 0 ≤ E ≤ 200,000) 둘째 줄부터 E개의 줄에 걸쳐서 세 개의 정수 a, b, c가 주어지는데, a번 정점에서 b번 정점까지 양방향 길이 존 www.acmicpc.net 📒 문제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가 주어진다. 세준이는 1번 정점에서 N번 정점으로 최단 거리로 이동하려고 한다. 또한 세준이는 두 가지 조건을 만족하면서 이동하는 특정한 최단 경로를 구하고 싶은데, 그것은 바로 임의로 주어진 두 정점은 반드시 통과해야 한다는 것이다. 세준이는 한번 이동했던 정점은 물론, 한번 이동했던 간선도 다시 이동할 수 있다. 하지만 반드시 최단 경로로 이동해야 한다는 사실에 주의하라. 1..

Algorithm 2021.12.20